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4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장하원·홍성욱, 휴머니스트, 2018) 2018년 4월 19일 목요일 라투르의 '근대' '탈근대' '비근대' 등의 논의에서 빠져 있는 것 내지는 그의 사유에 있어서 넌센스인 것은 아마도 ‘반근대’일 것이다. 이는 그가 '두 문화' 사이를 치열하게 사유하고 새롭게 매개하려는(그의 식대로 말하면 그와 같은 '근대적인' 기술을 우회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비변증법적 사유가 걷는 필연적인 경로 때문으로 보인다. 2018년 5월 6일 일요일 라투르가 '팩티쉬factish'라는 표현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사실이 구성되는 동시에 그 자체의 자율성을 가지고 작동한다는 것이다. 주체-객체 이분법을 '근대주의적 합의'라 부르면서 이를 우회 혹은 .. 2018. 5. 6.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를 일찌감치 보았지만 한동안은 그와 관련해 누군가 써놓은 글들만 읽어내렸다. 나는 이 영화를 보는 동안 새삼 가 영화라는 사실을 떠올렸다. 이런 당연한 소리를 하는 이유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팬픽션과 캐릭터 굿즈를 통해 자기 복제를 거듭하면서 거대한 설정 놀이가 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 이상 보기가 꺼려지는 프리퀄 3부작이 완결된 지 십여 년 뒤에 개봉된 역시 오리지널 3부작을 그리워하는 팬들을 위한 충실하면서도 적당히 잘 비튼 복제품이었다. 시리즈의 설정 놀이에 일찌감치 물려 가끔씩 유튜브로 게임 트레일러나 소비하던 내게 는 가 여전히 '영화적 경험'일 수 있음을 일깨워줬다. 가 완전히 새로운 영화라거나 잘 만든 영화라는 게 아니다. 무엇보다 대자본이 투입된 상업 오락영화다. .. 2017. 12. 26.
코뮤니스트 후기 보리스 그로이스는 『코뮤니스트 후기』(문학과지성사, 2017)에서 소비에트 공산주의(즉 스탈린주의)야말로 공산주의의 중핵이라는 테제를 기꺼이 떠안는다. 그는 소비에트 국가가 플라톤 식의 '철인 왕국', 즉 철학자들이 통치하는 이상 국가의 처참한 실패였다는 우파의 비난을 적극 긍정한다. 그에 따르면 소비에트 공산주의는 모순과 역설로 가득 차 있다. 그런데 그로이스는 바로 그 모순과 역설이야말로 변증법적 유물론의 핵심이며, "흰 소도 일 잘하고 검은 소도 일 잘한다"는 식의 논리야말로 총체성을 손안에 그러쥐는 유일한 방법이었음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레닌 사후의 노선 투쟁에서 좌파(트로츠키)와 우파(부하린)에 대항해 승리한 중앙파(스탈린)가 좌우파의 노선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이 대목.. 2017. 11. 26.
손자병법 얼마 전 늦은 퇴근길에 『손자병법』(손자 지음, 김원중 옮김, 휴머니스트, 2016)을 읽고 있다가 어떤 나이 든 남자가 내가 책 읽는 모습을 찍고 싶다고 말을 걸어 왔다. 멋쩍었지만 찍으셔도 된다고 말하고는 눈길을 도로 책으로 돌렸다. 그는 스마트폰을 이리저리 돌려 사진 찍는 시늉을 했지만 뜻대로 안 되었는지 안 되겠다고 중얼거리다 다음 정거장에서 내렸다. 조금은 취한 듯 들떠 있던 그 남자는 내게 하이파이브를 청하며 요즘엔 사람들이 이런 책을 잘 읽지 않는다는 말을 던졌다. 나는 그 남자가 떠나는 모습을 바라보며 『손자병법』 같은 책을 금과옥조처럼 다루는 어떤 남자들을 상상해 보았다. 그러니까 『삼국지』 같은 책을 읽고 『손자병법』에서 기업 경영과 세상살이의 이치를 찾으며 이 '난세'에서 살아남을 방.. 2017.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