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Voice25

기본소득 기본소득은 오랫동안 내가 관심을 갖고 생각해오던 주제다. 수입이 변변치 않던 시절에는 기본소득이 청소년, 청년 들과 빈곤층의 가난을 해결하고 일정 수준의 생활력을 확보할 보편적인 권리가 되리라 기대했다. 하지만 일을 하고 일정한 수입을 얻으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생각도 점차 바뀌었다.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에서 정의한 '국가가 모든 구성원 개개인에게 아무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이라는 기본소득 개념부터 걸리기 시작했다. '모든 구성원'은 과연 누구이며 어디까지 포함/배제할 수 있을까? 기존의 복지제도를 건드리지 않은 채 현금 지급을 대폭 늘리는 게 가능할까? 아무리 금액을 늘리겠다고 하더라도 지급액의 한계가 발생하는데, 적은 액수의 소득을 주는 것으로 생활력의 확보가 가능한 걸까? 기본소득한국네트.. 2022. 3. 17.
북미정상회담의 미디어 정치 지난 주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가 김정은에게 보여주었다는 영상을 보고 있으니 영화 (1974)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은 미국의 미디어 정치를 음모론적으로 풀어낸 영화로, 2018. 6. 19.
뼈는 정신이다 그저께는 "거대한 이론을 창안하지 못해 안달하기보다 차라리, 코앞에 놓인 꽃의 냄새를 맡고 흘러가는 것들 그 자체의 무상함을 놓치지 않기 위해 분투하는 태도가 훨씬 낫다"고 썼다. 하지만 잊어서는 안 될 것은, 이론은 세계의 단순한 반영이나 '프레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의 조탁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론은 구체적인 사물과 현상을 통과함으로써만, 그런 왜곡과 오독을 거침으로써만 생산되며, 그 자체의 세계를 구축한다는 이야기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하세가와 히로시가 『헤겔 정신현상학 입문』에서 설명하는 바를 나름대로 해석하자면) '정신의 모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장 거대한 이론에 집착하기보다 일상의 사물에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는, 누군가 이론을 말하지 않는 그 순간에도 사물.. 2017. 7. 9.
죽음, 결속, 백색왜성 죽음은 매듭을 푸는 게 아니라 반대로 묶는다. 이는 사회적 결속 의례이자 구심력이다. 죽어가는 사람은, 밀도와 질량을 얻어 다른 사회구성원을 자기 주위에 끌어당기면서 붕괴하는 자그마한 별이다.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안테르셀바」, 『작은 우주들』, 김운찬 옮김, 문학동네, 2017, 275쪽. ======================================= 마그리스의 말을 따르자면 죽어가는 사람은 백색왜성이다. 그/녀의 오그라든 육체는 주위로 사람들을 끌어모은다.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는 이들을 곁으로 불러모으면서 육체는 더욱더 쭈글쭈글해지고 작아진다. 그러나 그것도 어디까지나 죽음이 코앞에 다가왔을 때의 일이다. 백색왜성은 아름다운 비유이지만, 언제나 그렇듯 은유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다시금 .. 2017.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