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 Think

코뮤니스트 후기

by parallax view 2017. 11. 26.

보리스 그로이스는 『코뮤니스트 후기』(문학과지성사, 2017)에서 소비에트 공산주의(즉 스탈린주의)야말로 공산주의의 중핵이라는 테제를 기꺼이 떠안는다. 그는 소비에트 국가가 플라톤 식의 '철인 왕국', 즉 철학자들이 통치하는 이상 국가의 처참한 실패였다는 우파의 비난을 적극 긍정한다. 그에 따르면 소비에트 공산주의는 모순과 역설로 가득 차 있다. 그런데 그로이스는 바로 그 모순과 역설이야말로 변증법적 유물론의 핵심이며, "흰 소도 일 잘하고 검은 소도 일 잘한다"는 식의 논리야말로 총체성을 손안에 그러쥐는 유일한 방법이었음을 강조한다. 그에 따르면 레닌 사후의 노선 투쟁에서 좌파(트로츠키)와 우파(부하린)에 대항해 승리한 중앙파(스탈린)가 좌우파의 노선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이 대목은 스탈린이 고참 볼셰비키들에게 "당신들은 레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일갈했다는 이야기를 상기시킨다. 트로츠키는 저 '평범하고 음험한 사내'가 그의 주특기인 회유와 협박으로 소비에트 공산주의를 오염시켰다고 비난했지만, 스탈린은 그 스스로가 레닌의 원칙, 즉 변증법에 충실했음을 믿어 의심치 않았을 것이다).


화폐를 매개로 하는 자본주의와 언어를 매개로 하는 공산주의를 대질하면서 구소련이 '언어의 왕국'이자 '철학의 왕국'이었다고 기술하는 대목, 소비에트 공산주의가 서구보다 앞서 '언어학적 전회(기호학적 전회)'를 선취했다고 해석하는 대목이 흥미롭다. 그로이스는 그렇게 우파의 비난("스탈린은 레닌의 충실한 제자였다" "공산주의와 파시즘은 모두 전체주의라는 점에서, 스탈린과 히틀러는 광포한 독재자들이라는 점에서 똑같다")을 뒤집어 놓는다. 그는 지젝과 마찬가지로 '전체주의 비판'은 파시즘이 충분히 '전체(주의)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공산주의보다 불충분한 이념일 수밖에 없음을 놓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이런 식의 논의에 어느 정도 익숙하다. 하지만 이 책에서 가장 놀라운 지점은 '마르크스의 유령'을 불러내려는 몸짓(데리다)이나 '영원한 이념'으로서의 공산주의를 긍정하는 입장(바디우)을 넘어, 소비에트 공산주의의 해체가 새로운 공산주의를 위해 예비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대목에 있다. 이와 같은 예정설은 그로이스가 이 책에서 그토록 비난하는 '소피스트적인 말하기', 즉 궤변처럼 들린다. 그로이스가 드러내는 사유의 광기는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그러나 소비에트 공산주의를 건너뛴 채 '만약if'만을 강조하는 태도("만약 레닌이 10년만 더 건강하게 살아 있었다면…" "트로츠키가 스탈린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았다면…" "스탈린 혁명 없는 혁명이 가능했다면…")보다 이 편이 우리를 더욱 사유하게 강제한다. 



'Read &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 인생의 이야기  (0) 2018.05.07
판도라의 희망: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0) 2018.05.06
손자병법  (0) 2017.11.11
러시아 혁명사 강의  (0) 2017.10.29
노르웨이의 숲  (0) 2017.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