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네틱스3 계획경제 뒤에는 수리경제학이 있었다 리뷰 아카이브 기고문(2016.04.21) 계획경제 뒤에는 수리경제학이 있었다 수리경제학파의 성장과 소련 경제학계의 변화 1980년대 말 현실 사회주의 국가의 해체 이후로 사회 체제로서의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와의 체제 경쟁에서 패배한, 억압적인데다 낙후되기까지 한 시스템으로 인식되곤 한다. 현실 사회주의의 대표적인 생산과 분배 원리인 계획경제 역시 비슷한 평가를 받았다. 누구나 계획경제라고 하면 ‘정부가 통제하는 경제’, ‘정해진 할당량을 완수해야만 하는 경직된 생산 시스템’ 따위의 정의를 떠올릴 것이다. 특히 서구의 주류 경제학자들은 구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계획경제가 모든 정보를 당이 통제하려고 함에 따라 불가피한 실패를 맞이했다고 보았다. 그들은 ‘보이지 않는 손’이 지배하는 시장이야말로 효율적인 생.. 2016. 6. 16. 2016년 3월 11일의 메모 아무 생각이 없거나 공허한 상념에 빠질 때 찾는 영화: 두려움이나 당혹스러움에 빠질 때 찾는 텍스트: 『레닌 재장전』 중 제임슨과 르세르크의 글. 에서 어떤 '철학'을 건져 낼 것인가? 이미 너무 많이 언급돼 진부한 담론 뿐. 다만 그 영화의 느낌, 정서를 소비하며 안도한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다고 할 때 인간에 대한 기계의 승리 운운에 투항하거나 사실 알파고는 집단지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는 식으로 도피해서는 안 될 일이다. 기술은 인간과의 매개 없이는 작동할 수 없다. 자본주의는 기술을 전유하며 도래했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알파고, 인공지능, 사이버네틱스 등등을 둘러싼 소란 속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여전히 생산양식이다. 2016. 5. 1. 그린비 인문플랫폼 포스팅 이전 그린비 인문플랫폼 서비스가 아쉽게도 종료된다고 한다. 몇 자 쓰지도 않았지만, 끼적여 놓은 생각의 파편들을 옮겨놓는다. 2012년 1월 18일의 메모 (2012.01.18 오전 01:58) 소련군의 종심전투이론에 대한 포스팅을 읽다가, 종심전투이론의 "지각의 병참학"을 떠올린다(『전쟁과 영화』). 전차와 야포, 항공기와 공수부대 사이의 제병합동전술이라는 개념 수준에 머물러서는 "전격전"에 대한 오해에 그칠 뿐이다. 핵심은 전술과 기계의 앙상블이 생산하는 심리적인 효과이며, 그 효과를 전선의 연속적인 확장으로 기호화-물질화하는 것이다. "전술과 기계의 앙상블"에 대한 노트 (2012.01.21 오전 04:04) 1. 앞서 "전차와 야포, 항공기와 공수부대 사이의 제병합동전술이라는 개념 수준에 머물러서는 ".. 2012. 6.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