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 Think215

푸코의 미학 『푸코의 미학』(현실문화, 2018)의 저자 다케다 히로나리가 강조하는 바는 푸코 사유의 연속성으로서의 '바깥'이다. 푸코에게 '바깥'은 무엇이었나. '담론'을 통해 '이데올로기'를 우회하고 '권력'을 통해 '국가'를 재해석하며 '자기'를 통해 '주체'를 재가공해온 푸코에게 '바깥'은 그의 사유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공교롭게도 최정우 선생이나 여타 푸코 연구자들이 푸코의 '실존의 미학'에 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풀어내는 시기에 책이 나왔다. 단지 우연이랄 수만은 없을 것이다. 이런 흐름들은 푸코의 미간행 원고인 『육체의 고백』(『섹슈얼리티의 역사 4권』으로 명명되고 편집되었다)의 출간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진실을 말하는 용기'라는 뜻의 '파르레시아'를 통해 주체화를.. 2018. 8. 13.
만주 모던: 60년대 한국 개발 체제의 기원 한석정의 『만주 모던: 60년대 한국 개발 체제의 기원』(문학과지성사, 2016)은 제목과 부제 그대로 한국 개발 체제의 기원을 만주국 경험에서 찾는다. 식민주의의 다면성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책이다. 하지만 저항과 타협의 이분법을 넘어선다는 기획에 너무 몰두한 나머지, 중간 엘리트 내지 준엘리트의 만주국 경험을 지나치게 강조하고(박정희를 비롯한 만주국군 출신들의 영향력 등), 30~40년대 만주-60~70년대 남한-00~10년대 남한의 발전을 너무 쉽게 연결하고 있어 논의가 종종 비약한다(단적으로 이른바 'K-POP'의 수출과 한국 영화 발전을 만주국 경험에서 이어진 것으로 서술하는 것 등). 이 책에서 주로 지적할 부분은 1. 한국 개발 체제의 형성에 있어 '지도층'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top.. 2018. 7. 1.
역사의 역사 유시민의 『역사의 역사』(돌베개, 2018)에서 단연 눈길을 끄는 것은 「제5장. 역사를 비껴간 마르크스의 역사법칙」 장도비라 뒤의 사진이다. 각 장들은 그 장에서 해설하는 역사책의 펼침 사진으로 시작하는데, 5장에서 주로 다루는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은 페이지가 비어 있다. 저자 혹은 편집자는 그 이유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여러 한국어판으로 출간되어 있지만, 저자는 독일어 원전을 읽고 인용했다. 새로운 번역과 독자를 기다리며 비어 있는 책을 펼쳐 놓는다(146쪽)." 그 사진은 더 이상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지만 세계(사)를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일종의 세계관으로서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였던 이의 마르크스를 향한 감정을 가늠해보게 만든다. "역사를 비껴간"이라는 장 제목의 구절처럼 유시.. 2018. 6. 25.
당신 인생의 이야기 네 인생의 이야기 이 중편은 물리학의 변분 원리에 대해 품었던 흥미에서 생겨났다. 처음 이 원리에 관해 알게 된 이래 줄곧 매력을 느끼고는 있었지만, 소설 속에서 이것을 어떻게 쓰면 될지 알게 된 것은 유방암과 투쟁하는 자기 아내를 소재로 한 폴 링케의 1인극 라는 제목의 연극을 본 후의 일이었다. 어떤 사람이 피할 수 없는 운명에 대처하는 이야기에 변분 원리를 대입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떠올랐던 것이다. 몇 년 후, 이 아이디어와 친구 한 사람에게서 들은 갓 태어난 아기의 이야기가 결합되면서 이 작품의 핵이 되었다. 물리학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을 위해서, 이 중편에서 거론되는 '페르마의 최단 시간의 원리'에서는 양자역학적 기반에 관한 논의는 모두 제외했다는 점을 명기해둔다. 이 원리의 양자역학.. 2018.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