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 & Think

인간의 조건

by parallax view 2009. 7. 30.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 다른 걸 다 떼어놓더라도, 대체 인간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오랜 화두는 그것이 풀리지 않았으므로 유효하다. 사실상 철학의 테마 대부분이 여전히 풀리지 않는 것들을 사유하는 것이기에 더욱 그렇다(물론 생물학과 심리학이, 혹은 그의 교접들이 인류의 미스터리를 거의 독해하는 데에 성공했다는 주장들도 있지만.).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 <인간의 조건>(이진우, 태정호 옮김 / 한길사, 2002)의 저자 한나 아렌트는 그것을 새삼 인간이 지구 위에 발딛고 있음에서 찾는다. 책이 출간되었던 1958년의 상황-구 소련이 위성을 쏘아올리는 데 성공하고, 원폭으로 전 세계가 멸망할 수 있다는 묵시론적 위기감이 팽배하던 당시-을 떠올린다면 인간이 지구 밖을 나서는 상상이 단순히 아이디어의 차원이 아니라 실현가능한 현실태로 존재함에 따라 인간 존재의 근본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녀는 인간의 근본악에 대해 사유해왔던, 실천하는 지성인으로서 <전체주의의 기원>(1951)과 이후의 역작 <예루살렘의 아이히만>(1963)을 통해 '악의 평범성'을 역설해 왔다. <인간의 조건>은 이 두 저서를 관통하는 문제의식 밑의 흐름을 일괄하는, 아렌트 정치철학개론이라고 할 수 있을 게다.

아렌트가 제시하는 '인간의 조건'은 활동적 삶(vita activa)을 구성하는 요건이다. 무엇이 인간을 활동적으로 만드는가. 그녀는 그 조건을 세 가지로 구분한다. 노동(labour), 작업(work), 행위(action)가 그것이다. 한자어로 옮겼을 때는 그리 큰 차이를 못 느끼겠지만 영단어 상으로 의미가 확실히 갈린다는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노동은 말 그대로 자신의 생계를 위해 일하는 것이고, 작업은 노동과는 별개로 하나의 구조물을 창조하는 것이며, 행위는 말과 행동-대부분 말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다.

지극히 사전적인 해설이지만 이 의미들은 결코 가볍지 않다. 아렌트는 각 조건마다 한 장씩을 할애해, 그 조건들이 어떤 속성을 갖고 있는지, 또 어떤 역사적 맥락 속에서 각 조건이 부각되고 침몰되었는지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제3장 노동'은 일종의 (맑스) 정치경제학 비판이고, '제5장 행위'는 고대 그리스 정치론이며, 마지막 장인 '제6장 활동적 삶과 근대'는 과학사/과학철학사로 볼 수 있는데, 각 장마다 저자가 드러내는 학식의 폭이 무척 방대해서 하나하나 쫓아가기가 다소 버겁다. 정치철학이 얼마만큼 깊고 풍부할 수 있는지를 그 자체로 실증하는 듯한 그녀의 책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바로 행위(action)다.

행위는 말(글)을 통해 주로 나타난다. 행위는 그걸 하는 사람을 드러내므로 자기실현적이고 계시적인 속성을 띈다. 앞서 말했듯이 행위는 타인과 맺는 '관계' 위에 존재하며, 또 그 위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행위란 단순히 "내가 너에게 말을 한다"는 소극적인 수준을 넘어서 "내가 너에게 무엇을 요구한다" 혹은 "나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이다" 라는 적극적인 표현일 때에야 비로소 제 힘을 발휘한다. 한 마디로, 행위란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것이다. 행위가 곧 정치다. 그 점에서 대부분의 발화(말)는 행위이며 정치적이다. 미셸 푸코의 '삶(몸)-정치'(bio-politics)에 가까운 듯한 이 '행위'는 일상의 안온함이란 얼마나 쉽게 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정치혐오와 같은 반(反)정치성 내지는 정치적 중립성이란 종종 기만적이라는 걸 드러낸다.

한편, 아렌트는 고대 폴리스의 민주주의가 왜 노예제에 기반하고 있는가를 근대의 자유·평등관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 역시 분명히 제시한다. 고대의 '자유민'이란 자기 가정에서 전제적 군주인 가장이자 노동에서 '자유로운' 사람이므로(노예란 생계의 구속을 받아야 하는 누군가이고, 이는 세습되기보다 노예 자신의 비굴함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대부분의 노예란 전쟁포로였다.), '사적 영역'인 가정에서 나와 '공론 영역'인 아고라(내지는 포룸)에 있을 때 비로소 다른 자유민들(가장들)과 동등한 관계일 수 있는 것이고 이들 간의 평등이 고대 민주정을 낳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이들을 공론 영역으로 나서게 하는 동인은 불멸성에 대한 강렬한 욕망이라는 점이다. 영화 <300>의 스파르타 왕 레오니다스가 단적으로 드러내듯이,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고대 그리스인의 외침은 자유에 대한 단순한 열광이 아니라, 인간의 조건에서 스스로를 해방하고 신에 필적하는 영광(불멸하는 명예)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행위란 동시에 파괴적이어서, 한 명의 행위가 다른 한 명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과의 관계로 얽히기 때문에 의도나 선의와는 별개의 결과를 낳곤 한다(그녀의 관점은 <혁명론>(1963)에서도 다시 나타난다.). 예측할 수 없고, 또 돌이킬 수 없는 냉혹한 인간사. 그것은 인간을 당혹스럽게 하고 절망에 몰아넣는다. 플라톤이 민주주의에 대해 근본적인 불신을 품은 것 역시 바로 이 때문이다(그 점에서 월광토끼 님의 지적(월광토끼, <잡담>)은 근대 역사관의 오해에서 비롯되었다는 의문을 들게 한다.).

아렌트는 통사적 관점에서 어떻게 행위가 쇠락하고 노동이 흥하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또 결론부에서 그녀가 손을 들어주는 쪽 역시 노동이다. 노동이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산 자의 비천함에 구속된 노예적 속성으로 간주된 반면, 근대 산업사회에서는 노동(력)이 생산성으로 치환되어 사회의 원동력으로 받아들여진다는 걸 인식한다면 불가피한 면이 있다. 이는 맑스의 노동예찬과 그에 반하는 '노동으로부터의 해방'이 얼마나 자기모순적인가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아렌트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인간의 조건'을 탐색할 뿐 어떤 결론을 제시하지는 않는다고 했지만, 그럼에도 그녀는 행위가 어떻게 인간에게 활력을 불어넣는가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고대의 직접 민주주의의 이상이 수천 년의 시간을 지나 어느 정도 실현될 것 같은(혹은 그런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지금/여기'에서, 아렌트는 행위의 예측불가능함과 복구불가능함을 치유할 수단으로 '약속'과 '용서'를 제시한다. 그녀 역시 기독교적 관점을 포용하면서-동시에, 기독교 비판 역시 강하여 신자들에게는 쉬이 받아들여지긴 어려울테지만-인간의 행위에 따른 파괴력을 완충하고, 삶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는 점에서 그녀의 사유는 여전히 의미 있고, 유효하다.

이명박을 대통령으로 뽑은 것도 행위였고, 이명박에 반대해 촛불을 든 것도 행위였다. 그렇다면 우리는 고민해 봐야 할 것 같다. 우리의 행위는 '어떤 행위'여야 하는가?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이 던지는 질문이다.


덧 : <인간의 조건>에 관한 다른 리뷰들

<대중이 무기력한 이유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6> (Hendrix)
<인간의 조건> (DF 똥파리)

'Read &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잡담 : 한나 아렌트와 SF  (15) 2009.08.14
혁명론  (10) 2009.08.12
필연성에 얽매이기 : 먹고사니즘  (16) 2009.07.20
090709  (18) 2009.07.09
떡밥춘추 리뷰  (13) 2009.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