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aumfabrik

오늘은 만우절. 그리고 장국영이 떠난 지 6년째.

by 공화국시민 2009. 4. 1.
다시 돌아온 만우절,
(D백작 포스팅)


6년전 오늘. 4월 1일. 만우절. 그리고 장국영이 떠난 날.

그가 빌딩에서 떨어졌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 당연히 거짓말인줄 알았지. 그리고 생각했어. 왜 하필이면 한물간 장국영이 죽었다는 루머 따위가 검색어 1위를 차지한 거야. 가소롭고 건방진 그 말에 결국 상처받은 건 나였지만.

어떤 사람은 그가 죽기 직전에 찍은 <이도공간> 때문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그의 만성적인 우울증 때문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사람은 그의 동성애 전력 때문이라고 했지. 그런데 죽은 사람은 늘 말이 없는 걸 어떡해.

그가 떨어짐으로써, 그의 이름은 도리어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헐리우드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면서 자기 나름의 영화공간을 창조했던 홍콩영화의 몰락을 상징하듯 그렇게 장국영은 떠났지만,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그를 찾는다. <아비정전>의 고독한 아비에게서, <패왕별희>의 쓸쓸한 우미인에게서, <동사서독>의 냉혹한 구양봉에게서 그리고 더 많은 캐릭터에서 그의 편린을 엿보려고 한다. 나는 <금옥만당>의 조항생이 가장 좋았다.

지난주 금요일부터 허리우드 클래식에서 <故 장국영 6주기 추모 영화제>가 열렸다. 국내 처음으로 열린 장국영 공식 추모 영화제라는 점에서 각별하다. 가끔씩 허리우드에서 틀어주곤 했던 <영웅본색 1>을 비롯해, <야반가성>과 <아비정전> 그리고 <영웅본색2>와 <해피투게더>가 그의 편린을 비추어준다.

이오공감에 붙는 지극히 허망한 선동문구(PD수첩 기사에 대한 단순한 혐짤에 불과한)와, 목수정의 반박글에 지친 마음을 나부터 달래려고 한다.

오늘은 장국영이 죽은 날이다.

'Traumfabri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우드, 영웅본색 2  (21) 2009.04.19
PD저널 영화기고  (44) 2009.04.17
왓치맨  (10) 2009.03.18
렛 미 인 (Let the Right One In, 2008)  (10) 2009.01.13
그 분이 오신다  (12) 200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