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은우주들2

<작은 우주들> 단상 클라우디오 마그리스의 『작은 우주들』(김운찬 옮김, 문학동네, 2017)이 잘 읽히지 않는 이유를 알아낸 것 같다. 그의 글이 노인의 것이기 때문이 아닐까. 그는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의 경계(트리에스테),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의 경계(안테르셀바)를 헤매면서 '경계인'으로 살아가는 군상을 그들의 복잡다단한 역사와 단조로우면서도 변화무쌍한 자연경관과 함께 조명한다. 이때 마그리스는 늙은이들을 거듭 소환한다. 온화한 늙은이, 소란스런 늙은이, 심술궂은 늙은이까지 가리지 않는다. 도나우 강의 도도한 흐름과 함께하는 『다뉴브』와 비슷한 스타일로 쓰였지만, 『작은 우주들』에는 그 제목 그대로 '작은 우주들microcosmi'에 대한 무한한 집착이 보인다. 죽어가는 것을 향한 끊임없는 탐구가 거기에 있다. 하지만 나.. 2017. 7. 7.
죽음, 결속, 백색왜성 죽음은 매듭을 푸는 게 아니라 반대로 묶는다. 이는 사회적 결속 의례이자 구심력이다. 죽어가는 사람은, 밀도와 질량을 얻어 다른 사회구성원을 자기 주위에 끌어당기면서 붕괴하는 자그마한 별이다. -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안테르셀바」, 『작은 우주들』, 김운찬 옮김, 문학동네, 2017, 275쪽. ======================================= 마그리스의 말을 따르자면 죽어가는 사람은 백색왜성이다. 그/녀의 오그라든 육체는 주위로 사람들을 끌어모은다.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는 이들을 곁으로 불러모으면서 육체는 더욱더 쭈글쭈글해지고 작아진다. 그러나 그것도 어디까지나 죽음이 코앞에 다가왔을 때의 일이다. 백색왜성은 아름다운 비유이지만, 언제나 그렇듯 은유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다시금 .. 2017.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