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14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약간의 돈은 사람에게 자유를 준다." 소설 의 주인공 양 웬리는 원래의 꿈인 역사학자가 되기 위해 일반대학에 가는 대신, 자유행성동맹군 사관학교에 들어간다. 조국에 대한 투철한 애국심 때문에? 천만에. 돈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죽으면서 남긴 막대한 빚이 그의 등을 사관학교로 떠민 것이다. 장사꾼 기질이라곤 개미눈꼽 만큼도 없는 아들을 위해 아버지가 들려준 말은 양 웬리로 하여금 돈의 위력을 실감케 했다. 그리고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재밌는 건 대부분 돈을 사랑하지만, 돈을 이해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돈을 이해하기 위해, 경제가 급속히 나빠진 IMF 구제금융 이래로 수많은 경제/경영 관련서적이 서가의 베스트 TOP10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젠 자기개발서가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2009. 1. 18.
물리학과 경제학, 정치학과 경제학 물리학과 경제학의 분수령을 찾아서 (periskop 님 포스트) 1. 물리학-경제학의 관계 우선 periskop 님의 포스트에 대한 요약. 19세기의 과학혁명과 물리학의 발전은 동시대의 학자들에게 강렬한 지적 자극이었다. 특히 에너지 개념의 발견과 심화는 '보편 지식'으로서의 수학에 대한 관심을 부추겼으며, 경제학자들에게도 강한 영향을 주었다. periskop 님은 미로우스키 교수의 책 서평으로 물리학과 경제학의 상관관계를 일부 보여준다. 필립 미로우스키 교수의 'More Heat than Light'는 (제목은 전구의 에너지가 빛에너지보다 열에너지로 더 많이 방출되는 현상(엔트로피)으로서, 경제학의 난점을 은유하기 위해 지어졌다고 추정됨) 물리학과 경제학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합일했다가 분리되었는가를 설.. 2008.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