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게임4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그리고 워크래프트 1. 존 르카레의 (열린책들, 2005)를 읽었다. 1963년도에 나온 이 '모던 클래식'은 냉소적 반공주의자가 쓴, 냉소적 반공주의자가 주인공인 소설이다. 007과 더불어 현대 스파이의 이미지를 형성했다고 볼 수 있는 이 소설은 분명한 적대의 선 사이에서 갈등하고 방황하는 '직업인'으로서의 스파이를 보여준다. 지금 봐도 여전히 세련된 이 소설은 정치적 감상주의를 간결하고 냉소적인 문체로 살리고 있다는 점에서 아이러니의 미덕을 간직하고 있다. 물론 여기서 공산주의(자)는 적대와 광신의 다른 이름으로 동원될 뿐이다. 르카레의 최근 소설이 갈수록 나이브해진다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읽었던 것 같다. 그건 적대의 선이 사라진 탈냉전 시대에 그의 정치적 감상주의가 처한 자연스런 귀결이 아닐까 억측을 해본다. 2. .. 2016. 6. 11.
놀이와 인간 『놀이와 인간』(1994, 문예출판사) 로제 카이와의 『놀이와 인간』을 읽었다. 카이와는 요한 호이징하의 『호모 루덴스』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놀이(게임)에 대한 문화연구/비평을 수행한다. 그는 호이징하가 문화의 모태로서 놀이를 주목한 것을 높이 평가한다. 하지만 경쟁과 흉내(모의)만을 놀이의 형식으로 보고 운과 흥분(현기증)을 배제했다는 점에서 불충분했다고 지적한다. 카이와 스스로 말하듯 '놀이를 출발점으로 하는 사회학을 위하여' 놀이의 성격을 네 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문명 일반을 해석하려 한다. 경쟁(아곤agon), 운(알레아alea), 모의(미미크리mimicry), 현기증(일링크스ilinx)의 2x2 조합 중 가능하고 지배적인 조합은 경쟁-운의 쌍과 모의-현기증의 쌍이라고 그는 지적한다. 그.. 2015. 9. 23.
호모 루덴스 :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호모 루덴스 :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까치, 1981) 놀이와 진지함 사이의 경계선이 모호하다는 것은 "놀이하다"와 "도박하다"라는 말이 사용되는 경우를 보면 잘 설명된다. 즉 사람이 룰렛 도박을 하는 경우와 증권 거래를 하는 경우에, 전자의 경우는 놀이하는 사람 자신이 그가 하고 있는 일이 놀이라는 것을 인정하지만, 후자의 경우 증권 투기업자는 값의 상승과 하락에 대한 불확실한 전망 속에서 증권을 사고 파는 일은 생활을 위한 진지한 사업이고 사회의 경제적 기능이라고 주장한다. 두 경우 모두 실제의 요인은 소득을 얻고자 하는 희망이다. 그러나 전자는 순전히 우연한 운수라는 것을 대체로 인정하는 반면에(이길 수 있는 체계가 있음에도), 후자의 경우는 그 당사자가 미래의 주식 시장 동향을 계산해 .. 2015. 1. 11.
히치하이킹 게임 : 연애는 게임이다 이 글은 지난 학기 강의 과제였다. 새삼 들춰보는 것은 블로그 아직 안 죽었음을 밝히려는 수작남녀 관계에 대한 글을 쓴다면 어떤 글이 나올까 생각하다가 싶어서. 그러고 보면 나도 딱히 연애 관련한 글을 자세히 썼던 적은 없었던 거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연애밸리로. ========================================================================================================= : 연애는 게임이다 0. 밀란 쿤데라의 소설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의 작품 도, 도 전혀 읽어본 적이 없다. 강의록에서 그의 이름을 처음 봤을 때, 나는 그가 남미 작가인 줄 알았다. 마르께스나 보르헤스 등과 혼동한, 언어의 착각이었다. 다만 이 착.. 2009. 9. 8.